메사리에서 @arbitrum 이 제국처럼 돈을 만드는 프라이휠을 표현을 했는데, 이거 꽤 흥미로워서 가져왔습니다. L2 수수료 및 타임부스트 경매에서 나오는 수익이 국가의 세금처럼 ArbitrumDAO 트레져리로 모이고, 이 돈을 DAO가 DRIP·STEP·AGV 같은 프로그램에 재투자하면서 생태계 전체에 보조금·인프라 투자처럼 뿌려집니다. 그렇게 자본과 인센티브가 깔리면 그 위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및 앱, 롤업들이 태어나고, 이게 다시 아비트럼의 사용량과 수수료를 키우면서 다음 사이클의 재원을 만들어 줍니다. 정리하면, 프로덕트 → 수익 → DAO 재정 → 생태계 투자 → 새로운 기회 → 다시 프로덕트 수요 증가 라는 플라이휠을 제대로 돌리는 쪽에 아비트럼의 전략 포인트가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입니다. L2 하나 잘 만든 팀이 아니라, 자기만의 세금과 예산, 에코시스템 정책을 가진 작은 인터넷 국가로 진화하려는 시도가 아비트럼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메사리가 평가하는 부분입니다.
668
24
Il contenuto di questa pagina è fornito da terze parti. Salvo diversa indicazione, OKX non è l'autore degli articoli citati e non rivendica alcun copyright sui materiali. Il contenuto è fornito solo a scopo informativo e non rappresenta le opinioni di OKX. Non intende essere un'approvazione di alcun tipo e non deve essere considerato un consiglio di investimento o una sollecitazione all'acquisto o alla vendita di asset digitali. Nella misura in cui l'IA generativa viene utilizzata per fornire riepiloghi o altre informazioni, tale contenuto generato dall'IA potrebbe essere impreciso o incoerente. Leggi l'articolo collegato per ulteriori dettagli e informazioni. OKX non è responsabile per i contenuti ospitati su siti di terze parti. Gli holding di asset digitali, tra cui stablecoin e NFT, comportano un elevato grado di rischio e possono fluttuare notevolmente. Dovresti valutare attentamente se effettuare il trading o detenere asset digitali è adatto a te alla luce della tua situazione finanziaria.